전체 글 127

신용리스크 측정 방법론 (2) RC - 부도율

이 시리즈는 바젤 협약에 따라 신용리스크를 측정하는 일반적인 프로세스에 대해 알아본다. 내부등급법의 체계가 처음 만들어진 바젤2를 중점으로 하여 신용리스크 측정 프로세스의 개념적, 개괄적 측면에 맞춰 서술한다. 규정 재개정에 따라 업데이트가 이루어지고 있는 구체적인 측정치나 모델에 대한 언급은 최대한 피한다. References 금융감독원, 바젤2 하의 통합리스크관리 모범규준 제1권 신용리스크금융감독원, 알기 쉬운 신BIS 제1편 신용리스크 바젤 협약에서도 그렇고 신용리스크를 측정하는 대개의 모형들은 리스크의 구성요소를 아래의 3가지로 구조화하는 접근을 택한다. 부도율(Probability of Default; PD)부도율이란 거래상대방이 계약 의무를 불이행할 가능성을 말한다. 부도 시 익스포저(Expo..

신용리스크 측정 방법론 (1) 신용리스크와 RWA의 개념

이 시리즈는 바젤 협약에 따라 신용리스크를 측정하는 일반적인 프로세스에 대해 알아본다. 내부등급법의 체계가 처음 만들어진 바젤2를 중점으로 하여 신용리스크 측정 프로세스의 개념적, 개괄적 측면에 맞춰 서술한다. 규정 재개정에 따라 업데이트가 이루어지고 있는 구체적인 측정치나 모델에 대한 언급은 최대한 피한다. References 금융감독원, 바젤2 하의 통합리스크관리 모범규준 제1권 신용리스크금융감독원, 알기 쉬운 신BIS 제1편 신용리스크1. 신용리스크의 정의와 특징신용리스크란 채무자의 부도, 거래 상대방의 계약불이행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경제적 손실 위험을 말한다. 계약불이행에 따른 손실뿐 아니라, 채무자의 신용도가 하락하여 자산 가치가 하락하는 위험까지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도 쓰인다. 신..

똥강아지! 예술

롤랑 바르트, 사랑에 빠진 주체는 사랑하는 존재에 대한 자기 욕망의 특별함을 제대로 이름하지 못한 채 그저 사랑스럽다라는 어리석은 말에 의지하고 만다. (...) 내가 내 욕망의 특별함을 더 많이 경험할수록 나는 더욱 더 그것에 이름을 줄 수가 없다. 과녁의 정확함은 이름의 동요와 상응한다. 욕망에 특유한 것, 욕망에 고유한 것은 말로 적절하게 담을 수 없다. 이렇게 언어가 실패하고 나면, 오직 하나의 자취만이 남는다. '사랑스럽다'는 말.할머니는 손주를 똥강아지라고 부른다. 우리는 사랑을 이야기하고 싶지만 언어로는 사랑을 담아낼 수 없다. 사랑을 말하기 위해 사랑한다고 말할 수 밖에 없음에 아쉬움을 느끼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우리는 사랑을 이야기할 때마다 아쉬운 마음에 헛소리를 하게 된다. 사랑..

BIS 규제의 역사 (3) 바젤Ⅲ

이 시리즈에서는 은행 및 금융기관들이 준수하는 핵심 규제인 BIS 자기자본규제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다룬다. 실제 리스크의 측정 방법 등에 대해서는 후속 시리즈에서 다룬다. 1. 글로벌 금융위기와 바젤Ⅱ의 한계1) 과도한 단기 부채에 기반한 고위험 추구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바젤Ⅱ의 한계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었다.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원인으로 지목된 것은 과도한 단기부채에 기반한 고위험 추구 행위였다. 따라서 레버리지 비율에 대한 규제가 도입되었고, 유동성 리스크가 중요한 리스크 구성 요인으로 떠올랐다.2) 은행 시스템 위기의 내생성 인식(거시건전성 규제)한편 거시건전성 규제라는 새로운 규제 패러다임이 등장했다. 신바젤까지의 규제 철학은 미시건전성 규제에 기반한다. 이는 개별 금융기관들이 건전..

주가가 Log Normality를 갖는다는 것

금융시장을 분석하는 텍스트를 읽다보면 자주 마주치는 것이 바로 주가의 Log-nomality라는 가정이다. 사실 이것은 현실의 주가의 성질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고, 금융시장의 분석에서 익숙하게 사용되는 가정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냥 편하게 로그노말이라고 이제 쓰겠다. 0. 주가의 확률분포우리의 관심은 주가가 특정 시점에 어떤 값을 갖느냐이다. 사실 그건 알 수가 없다. 미래에 관한 예측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가 특정 시점에 주가가 어떤 값을 가질지 확률분포를 알 수 있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현실적인 아이디어이다.  이 포스트에서 다루고자 하는 것은 바로 주가의 확률분포를 구하는 과정인 것이고 그 중 자주 사용되는 분포가 바로 로그노말 분포이다. 1. 이항 모델주가는 오르거나 내린다. 가장 단순한 모형..

BIS 규제의 역사 (2) 바젤Ⅱ

이 시리즈에서는 은행 및 금융기관들이 준수하는 핵심 규제인 BIS 자기자본규제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다룬다. 실제 리스크의 측정 방법 등에 대해서는 후속 시리즈에서 다룬다. 1. 바젤Ⅱ의 개요2004년 발표된 바젤Ⅱ는 신바젤이라고도 부른다. 자연히 바젤Ⅰ은 구바젤이다.신바젤은 기존 구바젤의 자기자본비율 규제를 고도화했을 뿐 아니라, 3가지의 Pillar로 규제 전반을 재구조화하였다. 자기자본비율 규제는 Pillar 1에 해당하는데, 자기자본비율 관련해서 바뀐 것은 (1) 신용리스크 측정방법이 정교화되었다는 것과 (2) 운영리스크가 위험자산에 추가되었다는 것이다. Pillar 2는 감독당국의 점검, Pillar 3은 시장규율 강화이다. Pillar 2는 자기자본비율 규제와 그 외 다양한 리스크 관리 채널에..

BIS 규제의 역사 (1) BIS와 바젤Ⅰ의 도입

이 시리즈에서는 은행 및 금융기관들이 준수하는 핵심 규제인 BIS 자기자본규제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다룬다. 실제 리스크의 측정 방법 등에 대해서는 후속 시리즈에서 다룬다. 1. 국제결제은행과 바젤위원회1) 국제결제은행(BIS)BIS란 국제결제은행(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의 줄임말이다. 국제결제은행은 1차 세계대전 후 전쟁배상금 결제를 위해 설립되었다. 회원국 간 금융협력 증진, 국제금융 연구, 금융위기 시의 유동성 지원 등까지 그 역할이 확대되어서, 현재는 국제금융시스템의 안정화 및 확대를 위한 핵심적인 플레이어로 활동하고 있다.2) 바젤위원회그 중 BIS 규제를 다루는 하위기구가 국제결제은행 바젤은행감독위원회(줄여서 그냥 바젤위원회)이다. BIS규제와 바젤규제라는..

Kumhof et al.(2015) 불평등은 금융위기를 초래하는가?

라잔 가설(Rajan Hypothesis)이라는 것이 있다. 불평등이 금융위기를 초래한다는, 다소 검증하기 어려운 가설이다. 시카고 대학의 경제학자 라구람 라잔(Raghuram Rajan)이 자신의 책 Fault Line에서 제시한 주장에서 유래했다. 그에 따르면 소득불평등이 심각한 경제에서, 저소득층은 인적자본 투자 등에 필요한 자금을 대출로 조달할 수밖에 없다. 또한 정치권에서도 저소득층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재정정책을 사용하거나 구조적인 문제 해결로 접근하는 것에 부담을 느끼고, 대신 완화적 금융여건을 조성하는 것으로 갈음한다. 따라서 소득불평등은 소득 대비 부채 비율을 증가시키며 이것이 금융위기의 배경을 형성한다. ​"Growing income inequality in the United ..

거시경제학 2024.11.27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아무튼 인간은 사랑스러워

광활한 우주에서 보면 인간은 아무것도 아니고 양자역학에서 보면 나도 무수히 많은 확률적 시나리오 중 하나일 뿐이다. 인공지능을 완전하게 구현하는 날이 오면 고유한 나를 어떻게 증명할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대답하지 못한 주인공의 딸은 모든 도덕규칙을 잃어버리고 순수한 혼돈으로 우주를 하염없이 부유하게 된다. 사실 우리 모두가 머지 않아 겪게 될 정체성의 위기를 은유하고 있는 셈이다.과학기술은 단지 인간의 특정 기능을 복제하는 수준을 넘어서 인간 그 자체의 상위호환 버전을 만들어내고 있다. 복잡한 계산은 잘하지만 우리의 창의력은 따라하지 못할거야 라고 믿었지만 생성형 AI의 등장으로 이런 안일함도 무너졌다.우리는 인간이 특별하고 고유한 존재이기를 바라는 괜한 자의식이 있기 때문에, 이런 기술 발전에 불안함..

이표율, 현물이자율, 만기수익률, 액면수익률

채권은 너무 어렵고 헷갈린다. 채권론을 공부하는 입장에서 가장 짜증나는 것은 채권에는 너무 많은 수익률들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처음에는 이름만 조금씩 다르고 다 같은 것을 의미하는 수익률이겠지라고 생각하며 접근하게 되는데 진도를 나가다보면 자꾸 꼬이고 이상한 점들을 발견하게 된다. 모든 공부가 그렇듯이 개념을 하나하나 천천히 이해하면서 나가면 어려울 것은 없다. 근데 입문자의 관점에서 헷갈리는 점들을 차근차근 짚어나가며 알려주는 사람들이 많이 없다. 나처럼 고생하는 사람들이 없었으면 해서 내 공부도 할겸 이 짜증나는 수익률 개념들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1. 채권의 정의먼저 채권을 정의하자. 내가 A에게 돈을 빌려주면 돈을 언제까지 어떻게 갚겠다는 권리를 약정한 증서를 받아놓아야 한다. 이 권리 또는 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