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MathJax]/jax/output/HTML-CSS/jax.js

블랙숄즈머튼 6

파생상품 가치평가 방법론 #9 유한차분법(FDM) 구현하기

이 시리즈는 파생상품 이론 분야에서 가장 유명한 교재인 Hull(2021)의 "Options, Futures and Other Derivatives (11th)"을 요약한 것일 뿐이다. 아래는 책 구매 링크 Options, Futures, and Other Derivatives ISBN-13: 9780136939917 Options, Futures, and Other Derivatives Published 2021 www.pearson.com 이전 글: FDM의 아이디어 파생상품 가치평가 방법론 #8 유한차분법(FDM)의 아이디어 이 시리즈는 파생상품 이론 분야에서 가장 유명한 교재인 Hull(2021)의 "Options, Futures and Other Derivatives (11th)"을 요약한 것일..

파생상품 이론 #10 옵션의 Greeks

이 시리즈는 파생상품 이론 분야에서 가장 유명한 교재인 Hull(2021)의 "Options, Futures and Other Derivatives (11th)"을 요약한 것일 뿐이다. 아래는 책 구매 링크 Options, Futures, and Other Derivatives ISBN-13: 9780136939979 Options, Futures, and Other Derivatives Published 2021 www.pearson.com 9편 파생상품 이론 #9 Black-Scholes-Merton 모형 이 시리즈는 파생상품 이론 분야에서 가장 유명한 교재인 Hull(2021)의 "Options, Futures and Other Derivatives (11th)"을 요약한 것일 뿐이다. 아래는 책 ..

파생상품 이론 #9 Black-Scholes-Merton 모형

이 시리즈는 파생상품 이론 분야에서 가장 유명한 교재인 Hull(2021)의 "Options, Futures and Other Derivatives (11th)"을 요약한 것일 뿐이다. 아래는 책 구매 링크 Options, Futures, and Other Derivatives ISBN-13: 9780136939979 Options, Futures, and Other Derivatives Published 2021 www.pearson.com 8편 파생상품 이론 #7 옵션의 성질 이 시리즈는 파생상품 이론 분야에서 가장 유명한 교재인 Hull(2021)의 "Options, Futures and Other Derivatives (11th)"을 요약한 것일 뿐이다. 아래는 책 구매 링크 Options, Fu..

Black-Scholes-Merton Model #3: BSM 모델의 검증(Python 예제)

2편: BSM 모델을 사용한 옵션 가격의 해석적 해 도출 Black-Scholes-Merton Model #2: 옵션 가격의 해석적 해(Analytic Solution) 1편: 파생상품 가격 이론의 의의 Black-Scholes-Merton Model #1: 파생상품 가격 이론의 의의 1. 옵션의 정의 옵션의 정의를 짚고 넘어가자. 옵션이란 기초가 되는 자산(기초자산)을 사전에 약정된 가격(행 seungbeomdo.tistory.com 4. BSM 모델의 검증 옵션가격에 대한 BSM 모델이 잘 들어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데이터로 실습을 해본다. 2022년 9월 만기인 행사가격 320의 코스피200 콜옵션 가격 데이터를 사용했다. KRX 한국거래소의 정보데이터시스템으로부터 2022년 6월 29일부터 9월 8..

Black-Scholes-Merton Model #2: 옵션 가격의 해석적 해(Analytic Solution)

1편: 파생상품 가격 이론의 의의 Black-Scholes-Merton Model #1: 파생상품 가격 이론의 의의 1. 옵션의 정의 옵션의 정의를 짚고 넘어가자. 옵션이란 기초가 되는 자산(기초자산)을 사전에 약정된 가격(행사가격)으로 매수하거나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1.1. 옵션의 손익 구조 콜옵 seungbeomdo.tistory.com 2. BS 미분방정식 BSM 모델이 유도되는 과정을 큰 줄거리로 살펴보도록 하자. 2.1. 기초자산 가격의 랜덤워크 주가의 변화분 dSt가 시간 t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확률과정을 따른다고 가정한다. 이때는 주가 자체는 기하적 브라운 운동(Geometric Brownian Motion)을 따른다고 말한다. dt는 시간에 따른 확정적 추세, $..

Black-Scholes-Merton Model #1: 파생상품 가격 이론의 의의

1. 옵션의 정의 옵션의 정의를 짚고 넘어가자. 옵션이란 기초가 되는 자산(기초자산)을 사전에 약정된 가격(행사가격)으로 매수하거나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1.1. 옵션의 손익 구조 콜옵션이란 기초자산의 가격을 만기 시점에 행사가격에 매수할 수 있는 권리이다. 기초자산의 만기 시장가격 > 행사가격: 행사가격에 기초자산을 매수하여 시장가격에 매도하면 (시장가격 - 행사가격)만큼의 이득이 발생한다. 기초자산의 만기 시장가격 < 행사가격: 행사가격에 기초자산을 매수하여 시장가격에 매도하면 (행사가격 - 시장가격)만큼의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매수 권리를 행사하지 않으므로, 손익이 0이 된다. 만기 시장 가격 ST와 행사가격 K, 콜옵션 가격 C에 대하여, 콜옵션의 만기 손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