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열&계량경제학 30

패널 회귀 분석 #6 동태적 패널 모형의 IV 추정

지난 편에서 보았듯이 동태적 패널 모형에 대해서는 임의효과 모형과 고정효과 모형이 항상 consistency를 만족하지 못한다. 따라서 동태적 패널 구조를 고려한 대안적인 추정방법이 필요하다. AH 추정: Anderson & Hsiao 동태적 회귀모형을 1계 차분하면 $$\Delta Y_{it} =\Delta \mathsf{X}_{it}\beta + \rho \Delta Y_{i,t-1}+\Delta\epsilon_{it}$$ 위 모형에서 $E(\Delta Y_{i,t-1} \Delta \epsilon_{i,t})≠0$이므로, 도구변수 방법(IV)을 고려해야 한다. 그럼 어떤 변수를 도구변수로 사용해야 할까? $\Delta Y_{i,t-1}$에 대한 도구변수는 $Y_{i,t-2}$를 사용하면 된다. 어떤..

패널 회귀 분석 #5 동태적 패널효과 모형과 내생성

동태적 모형 (Dynamic Model) 동태적 모형의 정의 종속변수를 설명하기 위하여, 이전 기의 종속변수들이 독립변수로 사용되는 모형을 동태적 모형이라고 한다. 일반적인 동태적 패널 회귀 모형은 다음과 같다. $$Y_{it} = \alpha + \mathsf{X}_{it}\beta + \rho Y_{i,t-1}+\mu_{i}+\epsilon_{it}$$ 항상 $\epsilon_{it}$는 시계열적으로 비상관이며, 모형의 어떤 독립변수 및 개별효과와도 비상관이다. 이는 모형이 제대로 specificate되었느냐의 문제이다. 모형의 안정성 동태적 모형에서는 모형의 안정성(Stability)이라는 개념도 고려해야 한다. $\mathsf{X}_{it}$가 $\Delta X$만큼 증가했다고 하면, $Y_{it..

패널 회귀 분석 #4 정태적 패널효과 모형의 추가 이슈

하우스만 검정 (Hausman test) 랜덤효과 모형을 쓸지, 고정효과 모형을 쓸지 판별하는 방법 귀무가설: 랜덤효과 추정량과 고정효과 추정량 간 차이가 없다. 귀무가설이 참이라면, 랜덤효과 추정량을 사용한다. 귀무가설이 기각되면, 랜덤효과 추정량은 일관성을 상실하므로, 고정효과 추정량을 사용한다. 왜냐하면, 이 경우 랜덤효과 추정량은 일관성을 가지면서, 고정효과 모델보다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하우스만 검정 통계량은 다음과 같다. $$[\hat{\beta}_{RE}-\hat{\beta}_{FE}][Var(\hat{\beta}_{RE})-Var(\hat{\beta}_{FE})]^{-1}[\hat{\beta}_{RE}-\hat{\beta}_{FE}] \sim ^{A} \chi^{2}_{(k)}$$ Corr..

패널 회귀 분석 #3 고정효과 모형 (Fixed Effect)

고정효과 모형의 가정 패널 회귀모형이 다음과 같이 주어졌다. $$Y_{i,t} = \mathsf{X}_{i,t}^{T}\beta + U_{i,t}$$ $$U_{i,t} = \mu_{i} + \epsilon_{i,t}$$ $$\epsilon_{i,t} \sim i.i.d. (0, \sigma_{\epsilon}^{2})$$ $$E(\mu_{i} \epsilon_{i,t}) = 0$$ $$E(X_{i,t}\epsilon_{i,t})=0$$ 이때, OLS 추정량이 모수를 일관적으로 추정하려면 $$E(U_{i,t}\mathsf{X}_{i,t}) = 0$$ 이 조건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E(\mu_{i}\mathsf{X}_{i,t}) = 0$$ $$E(\epsilon_{i,t}\mathsf{X}_{i,t})=0..

패널 회귀 분석 #2 임의효과 모형 (Random Effect)

임의효과 모형의 가정 패널 회귀모형이 다음과 같이 주어졌다. $$Y_{i,t} = \mathsf{X}_{i,t}^{T}\beta + U_{i,t}$$ $$U_{i,t} = \mu_{i} + \epsilon_{i,t}$$ $$\epsilon_{i,t} \sim i.i.d. (0, \sigma_{\epsilon}^{2})$$ $$E(\mu_{i} \epsilon_{i,t}) = 0$$ $$E(X_{i,t}\epsilon_{i,t})=0$$ 이때, OLS 추정량이 모수를 일관적으로 추정하려면 $$E(U_{i,t}\mathsf{X}_{i,t}) = 0$$ 이 조건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E(\mu_{i}\mathsf{X}_{i,t}) = 0$$ $$E(\epsilon_{i,t}\mathsf{X}_{i,t})=0..

패널 회귀 분석 #1 패널 데이터와 Unobserved Heterogeneity

패널 데이터(Panel Data) 복수의 개체를 복수의 시점에서 관측한 데이터를 패널 데이터 횡단면 데이터(Cross-sectional): 복수의 개체를 하나의 시점에서 관측 시계열 데이터(Time-series): 하나의 개체를 복수의 시점에서 관측 패널회귀모델에서 변수는 2가지 차원의 변동이 가능하다. $$Y_{i,t} = \mathsf{X}_{i,t}^{T}\beta + U_{i,t}$$ $i$는 개체를, $t$는 시점을 나타내는 변수 반면 횡단면 혹은 시계열 데이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회귀식 $$Y_{i} = \mathsf{X}_{i}^{T}\beta + U_{i}$$ Pooled OLS 패널데이터로 회귀분석을 실시하는 가장 단순한 방법은 패널의 구조를 무시하고 그냥 횡단면 데이터처럼 취급하여 OLS..

계량경제학 #12 비정상 시계열 회귀분석 (3): 가성회귀, 공적분, 오차수정모형

1. 가성 회귀 분석 Spurious Regression 종속변수 Y와 독립변수 X가 모두 Unit Root process인 경우를 생각하자. 이 경우에 다음과 같은 회귀모형을 상상할 수 있다. $$Y_{t} = \beta_{*} X_{t} + U_{t}$$ 그런데 $Y$와 $X$가 모두 Unit root process인 경우 $\beta_{*} = 0$이라는 귀무가설은 항상 기각된다. 즉 $X$가 실제로 $Y$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항상 $X$가 유의한 독립변수로 나타난다. 이런 문제를 가성회귀 분석이라고 한다. 가짜 회귀분석이라는 뜻이다. 이런 회귀 모형을 세워서는 안 된다. 가성회귀 분석 문제에 대한 또다른 오해는 단지 $Y$와 $X$가 비정상 시계열일 때 가성회귀..

계량경제학 #11 비정상 시계열 회귀분석 (2): Stochastic Time Trend

비정상 시계열의 두번째 유형은 Stochastic Time Trend이다. 시간에 대하여 일정한 추세를 가지지 않는 Random Walk 모델이다.1. Random Walk Model Random Walk Model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Y_{t} = Y_{t-1} + U_{t}$$ where $$U_{t} \sim IID \; (0, \sigma_{*}^{2})$$ AR(1) model에서 $\beta$가 1인 경우와 동일하기 때문에, unit root process라고도 부른다. Random walk model을 따르는 경우, 특별히 추정해야 할 모수가 없다. 그냥 랜덤워크 모델이다. 인과검정이나 예측이 불가능한 모델이다.따라서 주요한 관심사는 주어진 process가 랜덤워크를 따르는 것이 맞는..

계량경제학 #10 비정상 시계열 회귀분석 (1): Deterministic Time Trend

비정상 시계열이 가지는 일반적인 특징은 시간에 대한 추세이다. 모든 비정상 시계열이 추세를 가지는 것은 아니지만, 추세를 가지면 비정상 시계열이다. 비정상 시계열이 가지는 추세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하나는 시간에 대하여 추세가 완벽히 예측가능한 Deterministic Trend와, 예측이 불가능한 Stochastic Trend이다. 이번 글에서는 Deterministic Trend가 존재하는 회귀 모델을 다룬다. 1. 모형의 가정 $$Y_{t} = \alpha_{*} + \beta_{*}t + \mathsf{Z}_{t}\gamma_{*} + U_{t}$$ where $\mathsf{Z}_{t}$는 k*1 벡터, $\{{\mathsf{Z}_{t}, U_{t}}\}$는 strictly stationa..

계량경제학 #9 자기상관 하에서의 선형회귀 모형 (2): HAC 추정량과 GLS

4. 오차항이 시계열적 상관을 가지는 경우 데이터셋이 시계열 상관을 가질 때, 오차항도 마찬가지로 시계열 상관을 갖는다고 하자. 이 경우에도 여전히 OLS 추정량은 Consistency를 만족한다. 이 시리즈에서 계속 얘기하듯이, 독립변수가 내생적이지만 않으면, OLS 추정량에는 그렇게 치명적인 문제(비일치성)는 없다. $$\hat{\beta}_{n} \rightarrow^{a.s.} \beta _{*}$$ 다만 OLS 추정량의 Asymptotic 분포를 구하기 위해서 추정량의 분산을 다르게 정의한다. $$\sqrt{n}(\hat{\beta}_{n} - \beta_{*}) \sim ^{A} N(0, E[\mathsf{X}_{t} \mathsf{X}_{t}^{T}]^{-1}BE[\mathsf{X}_{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