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100%

시계열&계량경제학

패널 회귀 분석 #4 정태적 패널효과 모형의 추가 이슈

seungbeomdo 2023. 11. 22. 19:45

 

하우스만 검정 (Hausman test)

  • 랜덤효과 모형을 쓸지, 고정효과 모형을 쓸지 판별하는 방법

 

  • 귀무가설: 랜덤효과 추정량과 고정효과 추정량 간 차이가 없다.

 

  • 귀무가설이 참이라면, 랜덤효과 추정량을 사용한다. 귀무가설이 기각되면, 랜덤효과 추정량은 일관성을 상실하므로, 고정효과 추정량을 사용한다.
  • 왜냐하면, 이 경우 랜덤효과 추정량은 일관성을 가지면서, 고정효과 모델보다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 하우스만 검정 통계량은 다음과 같다.

[β^REβ^FE][Var(β^RE)Var(β^FE)]1[β^REβ^FE]Aχ(k)2

 

Correlated Random Effect

  • 기본적인 패널 회귀 모형

Yi,t=Xi,tTβ+μi+ϵi,t

  • 이때 개별효과를 다음과 같이 분리하여 추정하는 모델을 CRE 모델(Chamberlain 방법)

μi=δ1Xi1+δ2Xi2++δTXiT+wi

  • 또는 Muldlak 방법에 의한 CRE 모델은

μi=X¯iTδ+wi

  • 고정효과 모델에서는 개별효과와 독립변수 간 상관에 대하여 아무런 가정을 하지 않는다.
  • 반면 CRE 모델에서는 개별효과 중 독립변수들의 선형결합을 제외하고 남은 부분 wi는 독립변수와 외생적이라고 가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