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든 금융자산의 가치는 미래 발생할 현금흐름들의 현재가치를 합한 것이다. 이것만 알면 사실 다른 건 다 사소한 응용일 뿐이다.
- 이번 글과 같이 읽으면 좋은 금융공학 이론들은 파생상품&금융공학 카테고리에 많이 있다.
'파생상품&금융공학' 카테고리의 글 목록
금융 도메인과 통계학/AI 기술을 왔다갔다 하면서 공부합니다.
seungbeomdo.tistory.com
1. 채권 가치 평가
- 시점 0에서 평가한 채권의 가치 P는 미래 발생할 원리금 지급의 현재가치 합이다.
$$P_{0} = \Sigma_{t=1}^{T}\frac{C_{t}}{(1+y)^{t}}$$
- $C_{t}$는 시점 t에서 발생하는 쿠폰 지급을 나타내며,
- t = T일 때 $C_{t}$는 원리금과 쿠폰의 합이다.
- $y$는 만기수익률(Yield to Maturity)이다.
2. 주식 가치 평가
- 주식 가치를 평가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복잡하다. 고정된 현금흐름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서, 미래 현금흐름에 대한 추정, 그리고 적당한 할인율의 추정이 매우 임의적이기 때문이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가지 접근은 주식을 보유함으로써 발생하는 현금흐름을 배당금으로만 생각하는 방법이다. 즉 시점 0에서 주식의 가치 P는 미래 발생할 배당금들의 현재가치 합이다.
$$P_{0} = \Sigma_{t=1}^{\infty}\frac{D_{t}}{(1+r)^{t}}$$
- $D_{t}$는 t 시점에서 발생할 배당금이며,
- $r$은 주식에 대한 요구수익률이다.
- 만약 배당금이 일정한 율 g로 성장한다고 하면, 식이 조금 더 간단해진다.
$$P_{0} = \Sigma_{t=1}^{\infty}\frac{D_{0}(1+g)^{t}}{(1+r)^{t}} = \frac{D_{1}}{r-g}$$
- $D_{0}$은 현재 기에 지급된 배당금,
- $D_{1}$은 다음 기에 지급될 배당금이다.
'재무론&투자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이론 #6 재무제표 분석 (2) 손익계산표 및 현금흐름표 (0) | 2023.06.12 |
---|---|
재무이론 #5 재무제표 분석 (1) 재무제표 개요 및 재무상태표 (0) | 2023.06.12 |
재무이론 #3 기업 가치 평가 (1) | 2023.06.04 |
재무이론 #2 ROE 분석 (0) | 2023.06.04 |
재무이론 #1 기업 재무 이론의 배경 (0) | 2023.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