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100%

2024/06 2

인과추론 방법 = 일관추정량을 구하는 방법

1. 인과추론 = OLS 회귀계수의 일관성을 보장할 수 있느냐공부시간이 성적에 미치는 인과영향을 구하기 위하여,공부시간 X에 대하여 성적 Y를 회귀시키는 방정식을 추정한다고 하자.Yi=α+βXi+eiwhere ei?(0,σ2) 이때 OLS 방법으로 추정된 회귀계수 ˆβ가 공부시간의 순수한 인과영향(causal effect)인 β를 나타낸다고 말할 수 있을까? OLS 회귀계수는 샘플로부터 계산된 통계량이기 때문에 불가분한 노이즈들이 들러붙어 있다. 이 노이즈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우리는 섣불리 OLS 회귀계수가 인과영향을 곧바로 나타낸다고 말하지 못한다. 우리는 인과영향을..

MDE (최소 측정 가능 효과)

가설 검정의 기본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다. (1) 귀무가설이 참이라고 할 때 검정통계량의 확률분포를 유도한다. 모평균 μ에 대한 귀무가설이 다음과 같다고 하자.H0:μ=μ0모평균에 대한 검정통계량을 샘플 평균 ˉX라고 하면중심극한정리에 의하여 검정통계량의 확률분포는 귀무가설 하에서 다음과 같다.X¯AN(μ0,σ2n)  (2) 관측된 검정통계량이 귀무가설 하에서 등장할 확률이 너무 낮으면 귀무가설이 참이라는 가정을 의심한다(기각한다). "등장할 확률이 너무 낮다"라는 추상적인 조건은 "등장할 확률이 α 미만이다"라고 실행가능하게 정의할 수 있다.이때 α는 유의..